우리 악기 이야기

[스크랩]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63)현존 最古 거문고 ‘탁영금’

우리음악 2008. 4. 10. 14:56
출처 : 비뚜로 보는 문화재
글쓴이 : 서울신문 원글보기
메모 : [서울신문] 거문고는 친숙한 악기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 거문고 음악과 가까워지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누군가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연주하는 악기라기보다는, 스스로 성정을 다스리는 데 도움을 주는 선비의 분신(分身)이었다는 이 악기의 역사와도 관련이 있겠지요.

거문고는 명주실로 꼰 여섯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율을 타는 것은 둘째 줄인 유현(遊絃)과 셋째 줄인 대현(大絃)이지요. 유현은 맑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지만, 굵고 투박한 대현은 그저 손가락으로 뜯어서는 제대로 소리를 낼 수 없습니다. 해죽(海竹)으로 만든 술대로 힘차게 내리쳐야 특유의 깊이 있는 소리가 울려나오지요. 거문고는 당연히 현악기이지만, 음색은 그래서 타악기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아마추어가 제대로 연주해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보물 957호… 국립대구박물관서 전시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풍류를 아는 선비 치고 거문고를 가까이 두지 않은 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책을 읽다가 생각이 흩어질 때 거문고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한 음씩 짚어나가다 보면 어느새 집중력을 되찾을 수 있었다지요. 물론 거문고를 가까이 둔다고 해서 연주 실력까지 출중했다는 의미는 아닐 것입니다. 그저 담백하게 소리의 여운을 즐기고 느낄 수 있는 마음의 귀 정도만 갖추고 있다면 족했겠지요.

탁영금(濯纓琴)도 기개있는 선비의 친구로 역할을 해낸 거문고입니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년)이 타던 것이지요. 탁영의 후손이 물려받은 이 거문고는 보물 제957호로 지정되어, 지금은 국립대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탁영금은 남아있는 거문고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김일손이 27세이던 1490년(성종 21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요. 악기의 윗단 복판에는 '濯纓琴(탁영금)'이라는 글자가 오목새김되어 있지요. 탁영이 세상을 떠난 뒤 옥강이라는 선비가 탁영의 거문고라는 사실을 밝혀놓으면서 함께 새겨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탁영금은 김일손의 손때가 묻은 거문고가 아니었다면 지금처럼 눈길을 끄는 존재가 되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잘 알려진 대로 김일손은 무오사화(戊午士禍)의 대표적인 희생자였지요.1498년(연산군 4년) 그를 비롯한 신진사류가 유자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에 화를 입은 사건입니다.

고향인 경상도 청도에 머물던 김일손은 의금부에서 관헌들이 체포하러 오자 "지금 내가 잡혀가는 것이 사초(史草)에서 비롯되었다면 반드시 큰 옥(獄)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견했다고 하지요. 무오사화를 史禍(사화)로 부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때 김일손·권오복·권경유 세 사신(史臣)이 대역죄로 몰려 온 몸이 갈기갈기 찢기는 능치처사(陵遲處死)를 당했는데, 김일손의 나이 만 34세였습니다.

100년된 나무 문짝 직접 구해 만들어
김일손이 남긴 '탁영집'에는 거문고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가 전합니다.
그는 자신이 탈 거문고를 자신이 직접 구한 나무로 만들고 싶어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한 노파의 집에서 좋은 재료를 얻게 되었는데, 바로 문짝이었지요. 노파에게 문짝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를 물었더니,"근 백년 된 것인데 문 한짝과 지도리는 망가져서 이미 땔감이 되었다."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나머지 문짝으로 거문고를 만들어 타니 소리가 맑았는데, 밑바닥에는 문으로 쓰이던 때의 못 구멍 세 개가 그대로 남아있었다고 하지요.

이후 김일손이 유능한 젊은 문신들에게 독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가를 주는 사가독서(賜暇讀書)에 들어있는 동안 권오복과 나눈 대화내용에는 이런 것도 있습니다.'그림으로 그려놓은 학은 욕심이 없으니, 나는 거문고에 학의 그림을 그려 넣어 욕심없는 부류를 따르겠다.'고 말하고는 거문고에 학을 그려넣게 했다는 것이지요. 실제로 탁영금에는 학이 그려져 있습니다.

스트라디바리의 걸작보다 일찍 '탄생´
탁영금은 악기이지만, 역사에 구체적인 흔적을 뚜렷이 남긴 젊은 선비의 기개가 담긴 정신적 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가장 훌륭한 바이올린을 남겼다는 이탈리아의 현악기 장인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년)의 걸작보다 훨씬 일찍 만들어졌고, 그것들이 범접하지 못할 스토리를 담고 있는 악기를 바로 우리가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