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악기 이야기

국악기 중 타악기 - 좌고, 징

우리음악 2006. 5. 7. 19:21

좌 고
 




고는 현재 궁중음악에 사용되는 북이다. 좌고는 『고려사』나 『악학궤범』에 보이지 않으며, 조선후기 화가 혜원의 무악도에 나온다. 혜원의 무악도에 의하면 피리 둘, 대금 하나, 소금 하나, 장고 하나, 북 하나, 이렇게 여섯잽이 편성되는 삼현육각에서 좌고가 사용되었다. 좌고는 장구가 합장단과 북편을 칠때 함께 친다.


 

 




은 농악, 무속음악, 불교음악, 군악 등에 두루 사용되는 금속 타악기이다. 농악용 징은 지름이 평균적으로 37~38cm 내외이며, 궁중음악용 징은 조금 넓고, 무속용은 조금 좁다. 징은 용도, 지방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 한자로는 "정(鉦)"이라고도 쓰며,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군악에서 연주될 때는 "금(金)", "금고(金鼓)" 또는 "금정(金鉦)"이라고 불렸다. 조선시대 『악학궤범』에서는 정대업의 연주와 독제(纛祭) 때의 춤에 사용되는 징을 "대금(大金)"이라고 하였다. 절에서는 "금고(金鼓)" 또는 "태징(太鉦)"이라고 하며, 평안도와 함경도 무속에서는 "대양", "대영", 제주도 무속에서는 "울징"등으로 불린다. 재료는 방짜 놋쇠이며, 악기의 여운이 길고 울림이 깊다. 징채는 채 끝에 헝겊을 감아 치기 때문에 부드러운 음색을 낸다.